728x90 728x90 유학 추천서, 어느 분께 받지?! 미국대학원 유학을 준비하고 지원과정이 거의 마지막을 향해 달려가고 있을 때, 필요한 서류가 바로 Reference Letter 추천서이다. 추천서의 영향력은 사람마다 말이 많이 다르긴 하지만 서류 상으로 검토할 수 없는 지원자의 인성이나 성향, 연구자로서의 포텐셜을 간접적으로나마 비쳐줄 수 있는 도구가 된다고 생각한다. 보통 Application process 중에 지원자가 본인의 추천인 (보통 3명)의 이름과 이메일을 기입하면 학교 측에서 추천인의 이메일로 메일을 보내고 추천인께서 간단한 질문에 대한 대답을 마치고 추천서를 업로드 하면 끝나게 된다. 그럼 추천서는 어떻게 부탁해야 할까? 추천서라는 것이 추천인들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울 수도 있는 것이다. 내가 잘 알지도 못하는 학생이거나, 혹은 별로 써주.. 2020. 7. 3. SOP(학업계획서) 작성은 어려워.. SOP (Statement of Purpose)는 미국대학원 합격에 있어서 큰 작용을 할 정도로 중요한 서류이다. 그래서 인지 너무나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형태의 SOP가 존재한다. 아마 이러한 형태는 본인의 background를 가장 잘 표현하기 위해서 나타난 현상이 아닐까 생각한다. 나는 어느정도 평범한 형태의 구성을 준비했으며, 나의 이야기가 잘 담기도록 작성하였다. 각 학교의 맞춤 SOP를 작성하면 너무나 좋겠지만, 지원하는 학교가 늘어나면 그 수를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Broad 하게 틀을 잡은 뒤 Specific 한 부분은 학교와 지원하는 전공, 지도 교수님에게 맞추어 작성하면 좋을 것 같다. SOP 쓰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였다. 문단을 어떤 식으로 구성해야할지도 막막했고, 사실 써본적.. 2020. 7. 2. 교수님과의 인터뷰 후기 이메일로 관심을 보인 교수님과 인터뷰를 하게 되었다. 시간은 한국시간으로 11pm. 기본적으로 어떠한 질문들을 보통 하는지 구글링을 통해 찾아보았다. 유튜브에도 Ph.D. interview 라고 검색 하면 정말 많은 내용들이 나오기 때문에 참고하면 좋을 것이다. 이번 인터뷰는 공식적인 application process 에서의 인터뷰가 아니라 약간 사전인터뷰 같은 느낌이였기에 크게 긴장되지는 않았다. 내가 답변을 준비한 질문들은 이정도이다. Could you introduce yourself? Why do you want to pursue Ph.D. degree? What is your goal? Could you explain to me about your paper or thesis? .. 2020. 7. 2. 나랑 같이 공부해볼래? (교수님의 답장메일) Contact email을 보내고 나서 여러 답장이 오기도 하였고, 답장이 오지 않는 분들도 많았다. 그렇게 무덤덤하게 영어공부를 하고 있던 와중 휴대폰에서 Gmail 알람이 떳다. 보낸지 약 한달이 정도 지난 시점에서 내가 보낸 email을 한 주립대 교수님께서 답장해 주신 것이였다.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Dear XX, I have reviewed your credentials, and I am quite impressed. Are you still interested in potentially studying with me at XXX University? If so, then perhaps we should arrange to speak via Skype. Please let me know.. 2020. 7. 1. 미국대학 교수님께 컨택 메일 보내기 미국 대학원에 가기로 마음 먹었다면 어떤 학교로 갈 지 결정을 해야할 것이다. 특히 대학원의 경우 Research가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대부분 전공별로 유명하거나 세부 전공에서 유명한 대가를 찾아 연락을 취하고 입학을 하는 과정으로 진행이 된다. 전공별 Top 100 List 학교에 학과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각 Faculty list를 확인하고 세부적으로 어떤 전공과 연구를 진행하고 있는지, Lab의 상황은 어떠한지, 구성원들은 어떻게 되어있는지 각 Private homepage 에서 확인할 수도 있다. 이렇게 세부적으로 다 조사를 해도 되고, 광범위하게 조사를 한 뒤 본인이 특히나 관심을 가지고 있는 교수님의 상황을 찾아보는 것도 좋다고 생각한다. 1. Contact List 구성과 E-ma.. 2020. 7. 1. 미국대학원 지원 첫 걸음! CV(Curriculum Vitae) 준비 미국대학원에 진학하기 위해서 앞의 글에서 소개했듯이 다음과 같은 서류들을 준비해야 한다. 학점(GPA) CV (Curriculum Vitae) SOP (Statement of Purpose - 학업계획서) Reference Letter (추천서) GRE Score TOEFL etc 사람마다 모두 다르겠지만, 어학점수가 준비되면 CV를 준비하게 된다. 나의 경우에는 어학공부는 어학공부대로 하면서 CV에 넣어야 할 내용들을 수시로 정리하면서 Update 하는 방식으로 준비했다. 최종적으로 보낼 양식이나 내용 sorting은 추후에 작업을 진행했다. CV는 Resume와는 조금 다른 개념으로 보통 연구자들이 작성하는 이력서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다. 여러가지 Formal한 양식은 google에 Ph.D. CV.. 2020. 6. 30. 이전 1 ··· 8 9 10 11 12 13 다음 728x90 728x90